본문 바로가기
독서 독후감(독서감상문이야기)

펭귄의 사생활 - 바이오로깅으로 훔쳐본 동물들의 일상 - 독후감 #02

by 가우리스 2023. 2. 5.
반응형

펭귄의 사생활 - 바이오로깅으로 훔쳐본 동물들의 일상 - 썸네일

도서명 : 펭귄의 사생활 

저자 : 와타나베 유키

책 소개

바이오깅으로 야생 동물의 일상을 훔쳐보다!

야생동물들은 어디로, 뭘 하러 가는걸까? 『펭귄의 사생활』은 야마자키 상을 수상한 와타나베 유키가 바이오로깅으로 야생동물을 관찰한 기록이다. ‘바이오로깅(bio-logging)'은 동물의 몸에 센서나 비디오카메라같은 다양한 기기를 부착해 인간의 눈을 대신해 해당 동물의 행동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바이오로깅이란 무엇이고 바이오로깅을 통해 야생동물의 사생활을 관찰한 결과를 유머러스하게 들려준다.

이 책의 목적은 바이오로깅으로 알아낸 야생 동물들의 다이내믹한 움직임을 소개하고, 그 배경에 있는 메커니즘과 진화의 의의를 밝혀내는 것이다. 바이오로깅은 보편성을 중시하는 물리학+다양성의 학문인 생태학의 융합의 과학이다. 저자는 동물을 관찰하는 관찰자 입장을 넘어 생명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는 것,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메커니즘과 진화의 의의를 밝힌다. 사랑스러운 아델리펭귄을 시작으로 무섭게 생긴 그린란드 상어, 큰 몸둘레의 바이칼바다표범까지 저자가 직접 체험한 글을 재미있고 기발하게 들려주어 어렵지 않게 바이오로깅을 소개한다.

감상문 쓰기

책을 즐겁게 읽었나요? 이제 책을 읽고 난 후의 생각과 느낌을 바탕으로 독서감상문을 써 봅시다. 독서감상문은 다음 내용을 생각하며 쓰는 것이 좋습니다.

  • 책을 읽게 된 동기
  • 이 책의 내용과 관계있는 나의 경험
  • 책을 구한 방법
  • 읽고 난 후의 생각과 느낌
  • 줄거리 또는 주요 내용
  • 이 책을 꼭 권하고 싶은 사람
  • 인상 깊었던 내용과 그 이유

바이오로깅 기술로 바라보는 펭귄의 사생활 -감상문 쓰기

  책 '펭귄의 사생활'은 생물학자인 저자가 해양생물을 추적하는 바이오로깅 기술을 통해 해양생물의 속도와 같은 특징을 파해쳐나가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책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끌어가는 바이오로깅 기술이 인상깊은 책이었는데, 바이오로깅은 생물을 뜻하는 바이오와 기록을 뜻하는 로깅의 합성어로 해양생물에게 작은 센서나 카메라, 기록기 등 작은 장치를 부착해 얼마나 빠르게 움직이는지, 얼마나 깊이 잠수하는지 등 전반적인 행동을 추적하는 기술을 뜻한다. 생소할 수도 있는 바이오로깅 기술을 소개하면서 새롭게 알게된 사실들을 공유하고자 이번 독서 감상문을 기록하게 되었다.

 

  첫번째로,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은 다랑어의 속도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는 부분이었다. 흔히 다랑어는 바닷속의 어뢰로 굉장히 빠른 속도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지어 자동차에 육박하는 속도인 시속 80km 로 해엄칠 수 있다고 알려져있다. 책을 읽기 전만 해도 당연히 다랑어는 시속 80km의 속도를 가졌다고 알고있었다. 그러나 책에서 밝히길 청새치가 헤엄치는 평균 속도는 이보다 한참 느렸다. 다랑어의 속도를 계산할때 낚시대를 이용해 다랑어에게 물리고 청새치가 도망가면서 늘어나는 낚싯줄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을 기록하면서 다랑어의 속도에 대한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다랑어는 결코 시속 80km에 달하는 속도로 헤엄치지 않는다. 순간적으로 이와 같은 속력을 낼 수 있을지는 몰라도 평소에 이와 같이 헤엄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애초에 물 속에서 헤엄치는 물고기들의 평균 속력은 알려져 있는 것보다 한참 느리다. 저자는 바이오로깅 기술로 이런 오류를 정정하면서 해양 속에서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짚어나간다. 이 부분을 읽으며 의심스러웠던 바이오로깅의 효용성과 의의에 대해 깨닫을 수 있었고 새로운 정보를 배울 수 있었다.

 

  두 번째로, 바이오로깅 기술에 필수적인 기록계를 설계하고 부착하는 과정이 인상깊었다. 저자는 기록과 관련해 아르고스, 팝업태그, 지오로케이터 등을 소개한다. 그리고 직접 설계한 기록계를 호수를 돌아다니며 바다표범을 찾아 부착한다. 단순히 부착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부착된 기록계를 회수하거나 얻은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다양한 특성들을 밝혀낸다. 사라진 기록계를 찾기위해 호수를 뒤지는 장면은 바이오로깅 기술의 애로사항을 보여주는 듯 하다.

  책 펭귄의 사생활을 읽으면서 생소한 기술은 바이오로깅 기술에 대해 새롭게 배웠다. 해양생물의 생태를 탐구하는 방안에 대해 배우면서 해양생물의 특징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잘못된 통념을 버리고 객관적인 생각을 할 수 있었고 과학적인 통찰력과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