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독후감(독서감상문이야기)

다윈의 물고기-진화생물학과 로봇공학을 넘나드는 로봇 물고기 태드로의 모험- 독후감 #03

by 가우리스 2023. 2. 5.
반응형

다윈의 물고기- 썸네일

도서명 : 다윈의물고기 

저자 : 존 롱

책 소개

진화하는 로봇이 보여주는 생명의 역사. 저자는 바다와 물고기를 사랑하는 해양생물학자다. 오랜 동안 물고기가 어떻게 진화해왔는지, 그 진화를 일으킨 환경의 변화가 도대체 무엇이었는지 알고 싶었다. 하지만 고생고생 잠수를 해가며 물고기를 지켜봐도, 굽실굽실 생선가게에서 물고기 사체를 얻어와도, 몇 년에 걸쳐 몇 백 번의 실험과 조사를 해도, 물증을 잡을 수 없었다. 이미 멸종돼버린 물고기를 지금의 바닷속에서 찾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심한다. 차라리 ‘물고기 조상님’을 만들자! ‘로봇 물고기’를 만들자! 이들을 초기 지구의 바다와 비슷한 곳에 풀어놓고 ‘진화’를 시키자! 그럼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 수 있을 테다. 이렇게 해서 4년 동안 23명의 팀원과 그보다 더 많은 조언자들과 함께 로봇 물고기 태드로를 ‘생명경기’에 풀어놓는다. 《다윈의 물고기》는 저자, 그리고 ‘재미를 추구하며 근사한 것을 배우고 싶어 하는 너드들’인 그의 학생과 동료들이 겪었던 실패와 좌절, 호기심과 끈기와 희망을 담은 책이다.

감상문 쓰기

책을 즐겁게 읽었나요? 이제 책을 읽고 난 후의 생각과 느낌을 바탕으로 독서감상문을 써 봅시다. 독서감상문은 다음 내용을 생각하며 쓰는 것이 좋습니다.

  • 책을 읽게 된 동기
  • 이 책의 내용과 관계있는 나의 경험
  • 책을 구한 방법
  • 읽고 난 후의 생각과 느낌
  • 줄거리 또는 주요 내용
  • 이 책을 꼭 권하고 싶은 사람
  • 인상 깊었던 내용과 그 이유

다윈의 물고기-진화생물학과 로봇공학을 넘나드는 로봇 물고기 태드로의 모험 독후감 쓰기

  책 '다윈의 물고기' 정말 흥미로운 두 분야를 다루고 있는 책이다. 바로 로봇공학과 진화생물학이 그것이다. 사실 로봇 공학과 진화 생물학은 언뜻보면 정말 멀게만 느껴진다. 생물학자가 로봇을 연구한다고 말하는 것을 상상해보라. 마땅히 당황스럽지 않겠는가? 그러나 이 책에서 저자는 로봇을 활용하여 생물의 진화에 대한 실마리를 찾는다. 도대체 어떻게 활용하겠다는 것일까?

 

  저자가 로봇 물고기 태드로를 고안하게 된 계기는 청새치의 등뼈로 거슬러 올라간다. 청새치의 등뼈가 헤엄칠 때 어떻게 작용하는지 얼마나 휘는지 등을 파악하고자 했던 저자는 이내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청새치에 직접 측정기를 삽입하면 청새치의 근육조직이 손상될 수도 있고 정확하게 측정하기도 어렵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저자가 로봇공학과 생물학을 연결지은 것이다. 살아있는 청새치로 실험을 진행할 수 없으니 모형을 설계해서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다. 물리 모형을 만들어 실험을 진행하면 생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 뿐더러 일부분만 뽑아낼 수도 있고 심지어 멸종된 생물을 제현해낼 수도 있다. 물론 당연히 유의해야 할 부분은 존재한다. 컴퓨터로 모형을 만들때는 물리법칙에 위배되어서는 안되며 설계할때 여러 절차를 거쳐가며 정확성, 구체성 등 기준에 부합해야 한다. 

 

  결국, 몇번의 시행착오 끝에 로봇공학과 결합된 로봇 물고기 테드로가 만들어진다. 저자는 테드로를 통해 로봇을 진화시켜 보면서 청새치의 등뼈의 기원과 등뼈의 움직임에 대해 연구한다. 생물을 기계로 만든 것 뿐만 아니라 진화까지 일으켜 보겠다니 꽤나 신선한 발상으로 다가왔다. 자세한 내용은 이렇다. 척추골의 등장이 먹이를 먹는 섭이 행동과 관련있다고 가정하자. 테드로에서는 척추골을 꼬리의 경직도로 대신했다. 꼬리의 경직도가 크면 클 수록 유영속도가 증가하고 유영속도가 높을 수록 더 많은 먹이를 먹을 수 있다. 따라서 세대를 거듭할 수록 꼬리의 경직도가 커지고 섭이 행동도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처럼 기존의 컴퓨터 모델이나 실제 환경에서 힘든 연구를 로봇을 활용해 진행했다. 물론 그 결과가 예상과 맞지 않기도 했고 도중에 시행착오를 겪기도 했다. 그러나 로봇 공학과의 새로운 접목이 진화의 편린을 이해하는데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 생물을 연구하는데 활용 될 수 있다는 점은 테드로가 시사하는 큰 발전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전혀다른 두 분야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발전을 이뤄낼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또, 진화생물학에 대한 식견을 쌓을 수 있었고 생물이 지닌 형질들이 어떻게 구현된 것인지 의문이 들었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