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 오공 공략 (Top Wukong Guide -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리그 오브 레전드는 패치마다 아이템 빌드와 메타가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에, 한동안 업데이트를 미루다가 최신 정보를 반영하여 새롭게 공략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 가이드가 탑 오공을 플레이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챔피언 개요: 오공, 원숭이 왕
오공은 강력한 순간 폭딜, 광역 군중 제어기(CC), 그리고 뛰어난 어그로 분산 능력을 가진 AD 브루저입니다. 라인전 단계에서는 Q 스킬을 활용한 견제와 E-Q 콤보를 통한 순간적인 딜 교환이 가능하며, W 스킬(분신)을 통해 상대의 주요 스킬을 회피하거나 심리전을 걸 수 있습니다. 특히 궁극기인 R(회전격)은 한타 페이즈에서 광역 에어본과 지속적인 피해를 입히며 진형을 파괴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소환사 주문 (Summoner Spells)
- 점멸 (Flash) + 순간이동 (Teleport): 가장 표준적이고 안정적인 선택입니다.
- 점멸: 생존, 추격, 킬 각 창출 등 모든 상황에서 필수적인 스펠입니다. E-점멸-Q-R 콤보 등으로 변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순간이동: 라인 복귀를 통한 손실 최소화, 다른 라인 개입(특히 바텀 로밍)을 통한 스노우볼링 등 운영의 핵심입니다. 궁극기를 활용한 텔레포트 합류는 게임의 판도를 바꿀 수 있습니다.
- (선택적) 점멸 (Flash) + 점화 (Ignite): 라인전 킬 각을 극대화하고 싶을 때 선택합니다. 특히 상대가 회복 능력이 좋거나 초반에 확실히 제압해야 하는 챔피언일 경우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주로 공격적인 룬 세팅과 함께 사용)
- 장점: 라인전 압박 능력 상승, 솔로 킬 확률 증가.
- 단점: 순간이동 부재로 인한 운영 능력 저하, 후반 합류 및 스플릿 운영 제약.
룬 (Runes)
오공은 크게 두 가지 핵심 룬 빌드를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1. 정복자 (Conqueror) - 표준 캐리 빌드
- 핵심 룬: 정복자 (Conqueror)
- 오공은 E-평-Q 콤보와 궁극기로 정복자 스택을 빠르게 쌓을 수 있으며, 지속 전투에서 높은 적응형 능력치와 체력 회복 효과를 제공하여 캐리력을 높여줍니다.
- 정밀 (Precision)
- 승전보 (Triumph): 처치 관여 시 생존력을 크게 높여주고 추가 골드를 제공합니다. 교전에서 필수적인 룬입니다.
- 전설: 민첩함 (Legend: Alacrity): 오공은 공격 속도가 중요하며, 이 룬은 스택을 통해 영구적인 공격 속도를 제공하여 전투 지속력을 향상시킵니다. (상대가 CC기가 많다면 '전설: 강인함'도 고려)
- 최후의 저항 (Last Stand): 체력이 낮을 때 피해량이 증가하여 역관광이나 아슬아슬한 싸움에서 승리할 확률을 높여줍니다. 오공의 전투 스타일과 잘 맞습니다.
- 보조 룬: 영감 (Inspiration)
- 마법의 신발 (Magical Footwear): 10분(처치 관여 시 단축)에 무료 신발을 얻어 골드를 절약하고, 이동 속도 +10 효과도 유용합니다. 초반 라인전에 집중하며 후반을 도모할 때 좋습니다.
- 우주적 통찰력 (Cosmic Insight): 소환사 주문 가속(점멸, 텔포 쿨감)과 아이템 가속(트포, 불드라, 스테락 등 사용 아이템 쿨감)은 오공에게 매우 유용한 옵션입니다.
- 룬 파편 (Stat Shards):
- 공격 속도 +10%
- 적응형 능력치 +9
- 체력 +65 (또는 상대 라이너에 따라 방어력/마법 저항력)
▶ 이 빌드는 언제?
일반적인 상황, 특히 자신이 캐리해야 하거나 지속적인 전투가 예상될 때 가장 효율적입니다.
2. 착취의 손아귀 (Grasp of the Undying) - 안정성 및 탱킹 빌드
- 핵심 룬: 착취의 손아귀 (Grasp of the Undying)
- 근거리 챔피언과의 라인전에서 딜 교환 시 추가 피해, 체력 회복, 그리고 영구 최대 체력 증가 효과를 제공합니다. 라인 유지력과 탱킹 능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 결의 (Resolve)
- 철거 (Demolish) 또는 보호막 강타 (Shield Bash): 타워 철거 능력 강화 또는 패시브/스테락 보호막 활용 시 추가 딜. (보통 철거 선호)
- 재생의 바람 (Second Wind): 상대 견제가 심할 때 라인 유지력을 높여줍니다. (뼈 방패도 고려 가능)
- 과잉성장 (Overgrowth): 미니언 처치 시 최대 체력이 영구적으로 증가하여 착취 및 탱킹 능력과 시너지를 냅니다.
- 보조 룬: 영감 (Inspiration) 또는 정밀 (Precision)
- 영감: 마법의 신발 + 비스킷 배달 (라인 유지력 극대화, 비스킷 소모 시 최대 마나 증가 효과는 삭제되었으나 즉시 체력 회복 및 판매 시 골드 이득)
- 정밀: 승전보 + 최후의 저항 (후반 전투력 보강)
- 룬 파편 (Stat Shards):
- 공격 속도 +10% (CS 수급 및 딜 교환)
- 체력 +65
- 체력 +65 (작성자 추천: 착취, 과잉성장과 시너지 극대화. 초반은 다소 약하지만 7레벨 이후 효율 증가 및 라인 유지력 도움) 또는 상대에 맞춰 방어력/마법 저항력
▶ 이 빌드는 언제?
라인전 상대가 매우 강력한 근접 챔피언이거나(예: 다리우스, 세트 등), 팀에 탱커가 부족하여 자신이 앞에서 버텨줘야 하는 상황일 때 선택합니다. 착취-과잉성장-체력 파편 시너지로 상당한 추가 체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참고: 공격적인 점화 빌드
점화를 들고 라인전을 강하게 가져가고 싶다면, 정복자를 기반으로 하되 보조 룬을 **마법(Sorcery)**으로 변경하여 **빛의 망토(Nimbus Cloak)**와 주문 작열(Scorch) 또는 **기민함(Celerity)**을 드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빛의 망토는 점화 사용 시 추격/도주에 큰 도움)
스킬 마스터 순서
R (회전격) > Q (파쇄격) > E (근두운 급습) > W (분신술)
- Q (파쇄격): 주력 딜링 스킬이자 방어력 감소 효과가 있어 가장 먼저 마스터합니다. 사거리가 길어 견제에도 유용합니다.
- E (근두운 급습): 돌진기이자 공격 속도 증가 효과가 있어 두 번째로 마스터합니다.
- W (분신술): 생존 및 심리전에 중요한 유틸리티 스킬이지만, 레벨 당 딜링 증가량이 낮아 가장 마지막에 마스터합니다.
- R (회전격): 오공의 핵심이자 게임 체인저 스킬. 찍을 수 있을 때마다 최우선으로 투자합니다.
스킬 활용 및 콤보
기본 콤보:
- 딜교환: E (진입) -> 평타 -> Q (평캔) -> (상황 보고 W로 빠지거나 추가 딜)
- 순간 폭딜 (암살): E -> (점멸) -> Q (모션 캔슬하며) -> R (즉시 시전)
- EQR 콤보 시 Q 모션 캔슬 연습이 중요합니다. E 사용 직후 Q를 누르고 바로 R을 사용하면 Q 모션이 거의 보이지 않으면서 빠르게 들어갑니다.
- 풀 콤보 (예시): E -> 평타 -> Q -> R (1타) -> W (분신과 함께 R 딜링 및 어그로 분산/위치 조정) -> R (2타) -> Q (쿨 돌아오면)
- 평타는 중간중간 섞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분신(W)이 Q와 R을 따라 사용하므로, 최대한 분신 딜까지 맞출 수 있도록 W 스킬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킬 활용 팁:
- P (바위 피부): 주변 적 챔피언 수에 따라 방어력/체력 재생이 증가하므로, 다수와의 전투에서 생각보다 단단합니다.
- Q (파쇄격): 사거리가 평타보다 길어 미니언 너머로 견제가 가능합니다. 착취 룬과 함께 사용 시 효율이 좋습니다. 방어력 감소 효과 때문에 R 사용 전에 반드시 맞춰야 딜 차이가 큽니다.
- W (분신술):
- 생존: 상대의 논타겟 스킬(그랩, 포킹 등) 회피, 타겟팅 스킬(제드 궁, 피오라 궁 등) 잠시 무효화, 어그로 분산, 도주 시 심리전에 매우 유용합니다.
- 공격: E-W-Q 콤보로 본체와 분신 Q를 동시에 맞춰 순간적인 폭딜(감전 룬 발동 가능)을 넣거나, R 사용 중 W로 위치를 바꿔 상대를 교란하거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중요: W 스킬은 오공의 생존과 직결되므로, 단순 이동기로 남발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W가 없을 때는 몸을 사리는 플레이가 필요합니다.
- E (근두운 급습):
- 활용: 적 챔피언/미니언/정글몹에게 사용하여 접근, 도주, 뼈 방패 제거, 라인 복귀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합니다.
- 팁: 사거리가 애매한 적에게 E(미니언) -> W(이동) -> Q 콤보 등으로 예상치 못한 각도에서 딜을 넣을 수도 있습니다.
- R (회전격):
- 활용: 2번 사용 가능하며, 분신도 R을 따라 합니다. 광역 에어본 + 지속 피해 + 이동 속도 증가 효과가 있습니다.
- 역할: 한타 개시(이니시에이팅), 적 진형 붕괴, 상대 돌진 조합 카운터(아군 원딜 지키기), 오브젝트 싸움 등 다재다능하게 사용됩니다.
- 시너지: 궁극기 범위가 넓어 치유 감소(치감), 방어력 감소(칠흑의 양날 도끼), 보호막 파괴(독사의 송곳니) 효과를 광역으로 묻히기 좋습니다.
- 중요: R 스킬이 없을 때는 대규모 교전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공의 존재감은 궁극기 유무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아이템 빌드 (Items)
시작 아이템:
- 도란의 방패 (Doran's Shield) + 체력 물약 (Health Potion): 가장 안정적인 선택. 라인 유지력을 크게 높여주며, 대부분의 상황에서 추천됩니다. (특히 상대 견제가 강하거나 라인전을 버텨야 할 때)
- 도란의 검 (Doran's Blade) + 체력 물약: 좀 더 공격적으로 플레이하고 싶거나 라인전 상성이 유리할 때 선택.
- 롱소드 (Long Sword) + 충전형 물약 (Refillable Potion): 핵심 아이템을 빠르게 올리고 싶을 때 선택. 초반 유지력은 다소 떨어집니다.
핵심 아이템 (Core Items):
- 삼위일체 (Trinity Force): 오공에게 필요한 모든 능력치(공격력, 공속, 체력, 스킬 가속)를 제공하며, 주문 검(Sheen) 효과로 Q 강화 평타 딜을 극대화합니다. 1대1 및 소규모 교전에서 가장 강력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 하위템 순서: 탐식의 망치(Phage)나 광휘의 검(Sheen)을 우선적으로 고려. 온기가 필요한 자의 도끼(Hearthbound Axe)는 후순위.
- 굶주린 히드라 (Ravenous Hydra): 뛰어난 라인 클리어 능력(Tiamat 효과), 모든 피해 흡혈, 그리고 광역 액티브 스킬까지 제공합니다. 오공의 스플릿 푸쉬 능력과 한타 지속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 하위템 순서: 라인 푸쉬가 급하다면 티아맷(Tiamat)을 먼저 가도 되지만, 능력치 효율은 곡괭이(Pickaxe)나 흡혈의 낫(Vampiric Scepter)이 더 좋습니다. 상황에 맞게 조합.
- 칠흑의 양날 도끼 (Black Cleaver) 또는 스테락의 도전 (Sterak's Gage):
- 칠흑의 양날 도끼: 상대 팀에 탱커가 많거나 방어력이 높은 챔피언이 있을 때 필수적입니다. 궁극기로 광역 방어력 감소 효과를 적용하기 매우 좋습니다. 스킬 가속과 체력도 제공합니다.
- 스테락의 도전: 상대 팀에 순간 폭딜(누킹)이 강한 챔피언이 많거나 한타에서 어그로를 받아내며 생존해야 할 때 선택합니다. 생명의 보호막 효과로 생존력을 극대화합니다.
신발 (Boots):
- 명석함의 아이오니아 장화 (Ionian Boots of Lucidity): 스킬 가속과 소환사 주문 가속을 제공하여 스킬과 스펠(특히 점멸, 텔포)을 더 자주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선호되는 신발입니다.
- 판금 장화 (Plated Steelcaps): 상대 팀에 AD 딜러나 평타 기반 챔피언이 많을 때 선택합니다.
- 헤르메스의 발걸음 (Mercury's Treads): 상대 팀에 AP 딜러나 CC(군중 제어기)가 많을 때 선택합니다.
상황별 아이템 (Situational Items):
- 죽음의 무도 (Death's Dance): AD 방어 + 받는 피해 일부를 지속 피해로 전환하여 생존력 향상. 킬/어시 시 체력 회복 효과도 뛰어납니다. (AD 위협이 강할 때)
- 맬모셔스의 아귀 (Maw of Malmortius): AP 누킹에 대한 카운터 아이템. 생명선 효과로 마법 보호막 및 추가 능력치를 제공합니다. (AP 위협이 강할 때)
- 화공 펑크 사슬검 (Chempunk Chainsword): 상대 팀에 회복 능력이 뛰어난 챔피언(소라카, 문도, 아트록스 등)이 있을 때 필수적인 치유 감소 아이템입니다. 체력과 스킬 가속도 제공합니다. (망했을 경우 1~2코어 이후 빠르게 올리는 것도 고려)
- 독사의 송곳니 (Serpent's Fang): 상대 팀에 보호막 스킬/아이템이 많을 때(세라핀, 럭스, 카르마, 불멸의 철갑궁 등) 매우 효율적인 아이템입니다. 궁극기로 광역 보호막 감소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수호 천사 (Guardian Angel): 후반 게임에서 생존 보험으로 매우 좋습니다. 특히 자신이 팀의 핵심 이니시에이터/딜러 역할을 할 때 고려합니다.
- 밤의 끝자락 (Edge of Night): 상대의 핵심 스킬(블리츠 그랩, 말파이트 궁 등)을 한 번 막아주는 주문 보호막이 필요할 때 선택합니다.
비추천 아이템 (개인적인 의견 포함):
- 월식 (Eclipse): 순간적인 딜과 보호막은 좋지만, 범위 딜이 부족하고 지속 전투 능력은 삼위일체에 비해 떨어집니다. 초반 이후 효율 감소.
- 발걸음 분쇄기 (Stridebreaker) / 선혈포식자 (Goredrinker): 현재 메타에서 삼위일체나 다른 브루저 아이템에 비해 오공과의 시너지가 떨어진다는 평가.
- 단순 방관/암살자 아이템 (요우무, 드락사르 등): 생존력과 한타 기여도가 부족하여 오공의 역할(딜탱/브루저)과 맞지 않습니다.
- 순수 탱커 아이템 (태양불꽃 방패, 얼어붙은 심장 등): 딜 기여도가 전무해지며, 탱킹이 필요하다면 스테락이나 다른 브루저 아이템으로 체력과 딜을 함께 챙기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오공으로 순수 탱템만 올리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아이템 빌드 요약:
- 표준 빌드: 삼위일체 -> 굶주린 히드라 -> 칠흑의 양날 도끼 / 스테락의 도전 -> 상황별 아이템
- 상황 고려: 상대 조합(AD/AP 비중, 탱커 유무, CC 유무, 회복/보호막 유무)을 보고 신발과 3코어 이후 아이템을 유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하기 어려운 챔피언 (카운터 픽) Best 3
- 케넨 (Kennen):
- 이유: 원거리 견제, 라인 클리어 우위, E 스킬(번개 질주)로 인한 접근 및 갱 회피 용이, 한타 기여도 오공 못지않게 강력함.
- 대처: 6렙 이전 최대한 사리고 CS 격차 벌어지지 않게 집중. 갱킹 호출 적극 활용. 점화 + 빛의 망토 룬으로 킬 각 노리기. 헤르메스 신발 고려. 쉽지 않으므로 벤 카드 고려.
- 뽀삐 (Poppy):
- 이유: 초반 체급 우위, W 스킬(굳건한 태세)로 오공 E 돌진 완벽 카운터, 벽꿍(E) 변수, 탱킹 능력 우수.
- 대처: W 스킬 빠졌을 때 딜교환 시도. 벽 근처 싸움 절대 피하기. 무리한 딜교보다는 CS 수급 및 성장 집중. 한타 페이즈에서는 뽀삐보다 오공의 영향력이 더 클 수 있으므로 라인전 반반만 가도 괜찮다는 마인드. (그라가스, 일라오이 등도 비슷한 유형으로 상대하기 까다로움)
- 모데카이저 (Mordekaiser):
- 이유: AP 기반 챔피언이라 오공의 기본 방어력이 무의미, 강력한 맞딜 능력, Q/E 스킬 회피 난이도, 궁극기(죽음의 세계)로 인한 강제 1대1 구도 형성.
- 대처: Q(말살), E(죽음의 손아귀) 스킬 피하는 것이 핵심. W(불멸) 빠졌을 때 딜교환 시도. 6렙 이후 궁극기에 끌려가지 않도록 거리 조절 중요. 헤르메스 신발 및 맬모셔스의 아귀 고려. 수은 장식띠(QSS)도 좋은 카운터 아이템.
※ 참고: 럼블, 아칼리 등 다른 AP 챔피언들도 오공이 상대하기 까다로운 편입니다.
상대하기 쉬운 챔피언 Best 3
- 가렌 (Garen):
- 이유: 비교적 단순한 스킬셋, 오공의 W 분신으로 가렌의 결정적인 스킬(특히 Q 침묵)을 피하거나 어그로 분산 가능. 오공의 지속적인 딜과 방깎으로 제압 가능.
- 대처: 가렌 Q 사용 후 딜교환. W로 가렌 궁극기 타이밍에 맞춰 회피 시도(타이밍 중요). 착취 룬 들고 체력 쌓으며 싸우는 것도 효과적. E(심판) 돌 때 잠시 빠졌다가 다시 교전.
- 주의: W로 가렌 궁을 씹는 것이 예전보다 어려워졌으므로, 점멸 등을 활용한 깜짝 킬 각은 항상 조심해야 합니다.
- 럼블 (Rumble):
- 이유: 물몸 챔피언, 스킬 쿨타임이 돌 때는 강력하지만 현자타임 존재. 오공의 순간적인 접근(E)과 폭딜에 취약.
- 대처: 럼블의 열 관리 및 스킬 사용 유무 확인 후 진입. 특히 과열 상태일 때 적극적으로 딜교환. 6렙 이후 점화가 있다면 풀콤보로 충분히 킬 각 창출 가능. 럼블 궁극기(이퀄라이저 미사일) 위에서는 싸우지 않도록 주의.
- 스몰더 (Smolder) 및 대부분의 원거리 딜러 (ADC):
- 이유: 기본적으로 체력이 약하고 오공의 돌진(E) 및 궁극기 연계에 매우 취약.
- 대처: E 스킬로 접근 후 Q-R 콤보로 빠르게 제압. 상대의 이동기/생존기 사용 유도 후 확실하게 진입. 점멸-점화-감전-빛망 룬 세팅으로 암살 능력 극대화 가능. (단, 베인처럼 생존/카이팅이 좋은 원딜은 숙련도 필요)
※ 벤 추천: 현재 메타에서 가장 까다롭거나 승률이 높은 챔피언(케넨, 럼블, 트위스티드 페이트 등) 위주로 벤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운영법 (Gameplay Strategy)
- 라인전 (Laning Phase):
- 초반 (1~5렙): 상대 상성에 따라 플레이. 유리하면 E-평-Q 콤보로 적극적인 딜교환 시도. 불리하면 Q짤 견제 및 W 활용한 안정적인 CS 수급 및 갱 회피. 착취 룬 활용 시 스택 관리 신경 쓰기.
- 6렙 이후: 궁극기(R) 습득 시 오공의 강력한 타이밍. 킬 각이 보이면 과감하게 올인 시도. 갱 호응 능력 매우 뛰어남. 맵 리딩을 통해 상대 정글 위치 파악 후 딜교환 결정.
- 중반 (Mid Game):
- 합류와 스플릿: 라인 클리어가 좋은 굶주린 히드라를 기반으로 사이드 라인 관리(스플릿 푸쉬) 후, 순간이동(Teleport)이나 빠른 합류를 통해 소규모 교전(용, 전령 싸움 등) 이득 창출.
- 암살 및 잘라먹기: 시야 장악 후 혼자 있는 상대 딜러나 주요 챔피언 암살 시도.
- 오브젝트 컨트롤: 궁극기를 활용한 오브젝트 싸움에서 매우 강력한 모습.
- 후반 (Late Game) / 한타 (Teamfight):
- 역할: 주로 이니시에이터(선봉) 또는 후방 라인 암살자(플랭커) 역할 수행.
- 이니시에이팅: E 또는 점멸-E로 진입하여 상대 주요 딜러에게 Q-R 콤보 시전, 광역 에어본으로 한타 개시.
- 후방 암살: 측면이나 후방으로 돌아 들어가 상대 원딜/메이지에게 풀콤보 시전.
- 아군 보호 (Peeling): 상대 브루저나 암살자가 아군 딜러를 물 경우, R 스킬의 에어본으로 저지 및 보호 가능.
- W 활용: 한타 중 W 스킬을 사용하여 어그로 분산, 위험한 스킬 회피, 위치 재조정 등 생존력 극대화.
- 궁극기 활용: 2번의 궁극기와 분신 궁극기를 최대한 많은 적에게 맞추는 것이 중요. 첫 번째 궁으로 진형 붕괴 및 에어본, 두 번째 궁으로 추가 CC 및 마무리.
핵심 운영 마인드: 오공은 라인전에서 버티거나 솔킬을 낼 수 있는 잠재력과 함께, 중반 이후 궁극기를 활용한 합류 및 한타 기여도가 매우 높은 챔피언입니다. 단순히 라인전에만 집중하기보다, 맵 전체를 읽고 자신의 강력한 타이밍(주로 궁극기 보유 시)에 맞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잘하는 플레이어들의 영상을 보며 운영법을 배우는 것이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마치며
오공은 숙련도에 따라 강력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매력적인 챔피언입니다. 이 가이드가 여러분의 오공 플레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메타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내용을 보완하고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궁금한 점이나 다른 의견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비노기 모바일 2025 최신: 직업별 필수 스킬 트리 & 장비 세팅 완벽 가이드 (0) | 2025.05.19 |
---|---|
2025년, 지금 로블록스에서 꼭 해봐야 할 추천 게임 TOP 8! (0) | 2025.05.11 |
리그 오브 레전드 롤 시즌2 개막 (업데이트 주목하세요) (0) | 2025.05.01 |
롤 랭크 스플릿, 진짜 없어진 거 맞아? 🤔 2025 시즌 완벽 정리! (OP.GG 기록 포함) (0) | 2025.05.01 |
인형뽑기 기계에서 인형 잘 뽑는 법, 집게 조작법 확률 총정리 (0) | 2025.04.23 |